중국꿀팁

윈차이나에서 중국에서 필요한 팁을 제공합니다.

마케팅, 최신트렌드 파악하기

작성일:2018.09.05 조회수:1454

중국에서 제품 및 브랜드를 런칭할 때 마케팅을 세우는 것은 필수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마케팅을 시작한다고 해서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무리 거액의 광고를 할 수 있는 대기업이라 할지라도 중국시장에서 마케팅전략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의외로 많은 기업 및 개인의 실패사례가 많은데요. 중국진출 시 마케팅의 최신 트랜드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하고 전략을 세워야 실패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최근 중국마케팅 트랜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로스오버 (Crossover)

최근 중국마케팅의 트랜드가 크로스오버 형식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크로스오버란 비슷한 소비자층을 보유하고 있는 활동분야가 다른 브랜드들이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공동사업을 추진하는 마케팅 전략입니다. 

이미 많은 브랜드가 시도하고 있으며, 이전에도 중국은 효과적인 수익창출을 위해 다양한 마케팅을 시도해왔습니다. 

그렇다면 최신 중국마케팅 트랜드로 자리잡은 크로스오버 경영전략을 선보인 브랜드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백주기업이 출시한 향수

 

 

지난 2월, 중국의 유명 백주제품 브랜드 루저우라오쟈오(泸州老窖)에서 향수를 출시했습니다. 현재 향수세트는 한 종류이며, 독특한 복숭아 향으로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출시된지 4일만에 20,000병의 판매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이미 크로스오버 전략을 성공한 것을 입증한 셈인데요. 사실 루저우라오쟈오는 2016년 티몰 쇼핑몰과 제휴를 맺어 향수를 출시했던 바가 있었고, 초창기 때보다 현재 더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생수 브랜드가 만든 웰빙 화장품

 

 

식료품, 어린이 영양제, 웰빙식품 등을 판매하는 건강식품 그룹 양생당(养生堂)에서는 2017년 11월 26일, 항저우시에서 양생당 자작나무액 천연화장품을 출시했습니다. 제품은 자작나무액을 주원료로 만들어진 마사지팩과 스킨 등이 있으며, 물을 사용하지 않은 천연수분 상품이라고 하는데요. 모든 원료는 외국에서 수입했으며 생산업체는 일본sc기업이라고 합니다. 2018년 농부산천은 계속해서 에센스와 크림 등 제품라인을 확대하며 중국시장 외에도 일본시장에서 판매를 확장할 계획이며, 5년 이내 중국화장품브랜드 시장에서 탑5안에 드는 최고 품질을 가진 화장품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립스틱 생상에 맞춰 출시된 한정판 스마트폰

프랑스 화장품 브랜드 겔랑과 OPPO가 지난 2017년 6월, 제휴사업을 발표했습니다. 겔랑이 휴대폰 브랜드와 최초로 제휴한 크로스오버 사례입니다. 이 합작품은 겔랑의 kisskiss립스틱 325호와 같은 색상으로 만들어진 휴대폰을 출시하였는데요. 이때 출시된 겔랑 립스틱에는 'Call Me OPPO' 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고 합니다. OPPO R11 고유의 배색을 탈피한 계기가 되었으며, 겔랑 브랜드 색채와 부합한 특별판을 출시하면서 겔랑이 2017년 6월 인기 검색어 3위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가공육과 마스크팩 브랜드의 합작 립스틱

중국의 유명한 가공육(오리) 생산 브랜드 쪼우헤이야(周黑鸭)가 2018년 5월, 후난의 유명 마스크팩 브랜드 위니팡(御泥坊)과 함께 시아오라원(小辣吻) 립스틱을 공동 출시했습니다. 립스틱 설계부터 생산 및 포장 과정은 위니팡 기업이, 판매 루트 확장은 쪼우헤이야가 담당했다고 합니다. 두 브랜드는 웨이보 팬수를 비롯하여 티몰 플래그십 스토어 팬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데, 특히 쪼우헤이야는 1000개의 소매점을 보유하고 있어 관리고객이 많은데요. 이번 합작으로 인해 쪼우헤이야 판매 루트 확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음료브랜드와 제휴한 화장품브랜드

 

2018년 6월, 음료 브랜드 희차(喜茶)와 로레알이 제휴하여 립스틱을 출시하였습니다. 립스틱 세트에는 포토씨 에센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3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외에도 희차는 HEYEA COLOR 회원카드를 함께 출시하였는데요. 식품산업 분석가 쭈단펑의 말에 따르면 "과열된 경쟁시장에서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상품 구매는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애착도를 증강시켜줄 수 있다" 고 언급했습니다. 이번에 공동 출시된 립스틱 세트는 웨이보 조회수가 90만명이 넘을 정도로 SNS상에서 큰 일기몰이를 했습니다.



 

최근 중국에서는 다양한 제품군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크로스오버를 실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기업 및 브랜드에서도 기존의 한국기술 및 중국자본의 합작모델 뿐 아니라 마케팅 측면의 합작모델을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특히 중국에서 지명도가 높은 화장품의 경우, 중국 브랜드와 함께 크로스오버를 적극 추진하는 것이 브랜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입니다. 중국마케팅 전략을 세울 때 트랜드에 맞는 전략을 적극 활용하여 팝업스토어, 한정판 출시 등과 같이 단계적인 크로스오버 전략을 시도해본다면 향후 판매량 상승 및 여론의 관심 뿐 아니라 더 많은 소비자들을 구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